아우구스티누스 살짝 엿보기
책소개
대개의 신학자는 자신이 욕망에 사로잡혔던 것을 잘 표현하지 않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그것을 그대로 표현했다. 나는 1강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출생과 성장 환경, 그리고 정욕과 명예욕에 사로잡혔던 그가 어떻게 해서 하나님의 은혜를 받고 회개하는지 그 과정을 따라가며 기록했다. 그의 이런 변화의 과정은 우리 기독교인들이 신앙생활 할 때 큰 도움과 위로가 될 줄 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또한 신학자이다. 그는 회개한 후에 평생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하고 이단들과 논쟁하였다. 또한, 로마가 멸망할 시기에 하나님의 도성과 땅의 도성을 비교하며 기독교인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지 말해주었다. 오늘날 우리도 많은 이단 사상에 혼동을 느낀다. 나는 2강에서 그의 신학 사상을 살펴보면서 그의 글들이 우리에게 온전한 신앙과 신학의 방향을 알려 주는 것을 보았다.
3강에서는 『신국론』을 현대까지 연장하여 생각해보았다. 한국에서 가장 뜨겁게 논의되는 것은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의 관점이다. 그런데 이 논의는 사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상에 근원을 두고 있다. 어떤 것이 더 나은 체제일까? 예수님은 기독교인에게 세상의 소금이고 빛이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인간은 여러 체제의 사회에서 살고 있다. 어떤 체제이든 우리 기독교인이 정말 소금과 빛의 역할을 한다면 그 사회는 훨씬 살기에 좋을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나님의 도성과 땅의 도성을 비교한다. 그는 폭넓게 로마 역사를 예로 들면서 자세히 그리고 깊게 두 나라를 대조하며 기독교인이 갈 길을 조명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을 연구하고 깊은 사색에서 나왔다. 그런데 그의 신학은 놀랍게도 현대의 과학에서 설명하고 결론을 내는 것들과 매우 유사하다. 어떻게 그런 결과가 나오는지 신기하다. 내 생각에 아우구스티누스는 연역법을 통해 결론에 도달했고 과학은 귀납법을 통해 결론에 이르렀는데 이 두 가지의 결론이 같거나 유사하다는 것이 놀랍다. 그런데 이것은 없는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창조한 것이 사실이라면 과학이 실험과 연구를 통해 도달하는 것은 결국, 하나님의 창조를 증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 역시 그 깊은 사색을 통해 과학이 하는 실험의 과정을 추정한다는 것이 정말 놀라운 신학자라는 다시 느끼게 된다.
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삶과 그의 신학을 살펴보는 것이 현대의 기독교인들에게 매우 필요하며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그를 알고 싶었고 그래서 그의 삶과 신학을 내가 이해한 대로 나의 글로 설명했다. 누군가에게 나의 글이 의미가 있고 주님을 아는 데 도움이 된다면 나는 그것으로 감사하다.
작가소개
조용선
학력:
총신대학교 신학과 (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equip)
아세아연합대학교 대학원(Th.M)
중국선양사범대학교 대외한어과(BA)
경력:
한국공군목사
GMS선교사
선양한국국제학교(SYKIS) 교사
세계선교신학원 역사신학(M. Div.과정)강사
목차
목차
머리말
1강 아우구스티누스의 삶과 회개
1장 지금 우리 신앙생활의 상황
2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출생 환경
3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성장 과정
4장 지혜를 사랑한다는 것
5장 마니교에 빠지다.
6장 로마로 가다.
7장 밀라노의 생활과 회개
2강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과 활동
1장 수도원 공동체
2장 마니교와 악의 기원 문제
3장 기독교와 신플라톤주의가 다른 점
4장 도나투스 분파 논쟁
5장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Confessiones)』 명상
6장 펠라기우스 사상의 문제점
7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과 역발상 관점
8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과 윤리
9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1: 서론
10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2: 두 나라 개념
11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3: 로마의 역사와 국가의 정의(正義)
12장 하나님의 도성으로 옮겨가며
3강 현대에 적용해보는 『신국론』
1장 자본주의 출현에 대한 일반적인 분석
2장 자본주의 출현에 대한 새로운 해석
3장 공산주의의 출현
4장 유토피아는 왜 이 땅에서 성취되지 않는가?
5장 가능한 시도
4강 아우구스티누스와 양자역학
1장 빅뱅(Big Bang) 이론과 기독교
2장 천체물리학의 관점에서 창세기 1장 1~3절 해석
3장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
4장 프로이트의 자살과 무(無)
5장 맺음말
부록: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도전
1장 카오스와 코스모스의 분기점
2장 양자(量子) 컴퓨터와 양자(量子) 폭탄
3장 영생과 인공지능(AI)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