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일반

이페이지

갓(God)과 가시, 99단 셈나라 가락

갓(God)과 가시, 99단 셈나라 가락

갓(God)과 가시, 99단 셈나라 가락

저자 김영용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4.05.24

|

가격 25,000

책소개

‘~ 알고 있습니까?’라는 물음으로 아래와 같이 책 제목의 ‘~ 셈의 나라 가락’처럼 주로 숫자와 셈으로 이 책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
① 국호 한(韓)이나 조선(朝鮮)에서 두 개의 위쪽과 아래쪽의 열 십(十)의 의미가
사람 인체명과 그 활용 동사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② 조선(朝鮮)에서 아침 조(朝)의 변형 10월 10일(十月 十日)을 기간 산정
(9*30=270일과 10일 더하기 즉 280일)하여 고을 선(鮮)에서 곱다의 된소리
꼽다로 하면, 태양(日)은 누구를 가리키며, 280일의 의미를 알고 있습니까?
③ 사람의 손이나 발의 가락은 각각 두 부위에 있는데 그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숫자가 한자로 숨겨져 있는데 그것을 알고 있습니까?
④ 가락국에 등장하는 김수로(金首露)의 이슬 로(露)의 이슬, 구간(九干)의 구,
허황옥(許黃玉)의 구슬 옥(玉)의 구슬의 의미와 허황옥이 가락국에 도착할 때
타고 오는 배는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⑤ 가락국의 6가락과 9간의 더하기 6+9=15는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⑥ 가락국의 6가락과 9간의 곱하기 6*9=54는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⑦ 가락국의 6가락과 9간 그리고 허황옥의 배의 곱하기 6*9*2=108은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⑧ 한자 헤아리거나 장사할 상(商)에서 변형된 숫자가 있으며,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장사하다’를 검색하면 두 개의 동사가 있어 이것을 한글 숫자 두 개 와 몫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까?
⑨ 기독교의 십(十)자와 불교의 만(卍)자의 의미가 숫자상으로 우리 인체명에 있는지
알고 있습니까?
⑩ 구약성경의 창세기 3장에 아담과 하와 그리고 뱀이 등장하는데 동물 ‘뱀’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⑪ 창세기 7~8장의 노아의 방주(方舟) 즉 ‘배’가 무엇을 상징하며 ‘7일후 40일간 홍수’
에서의 숫자의 의미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⑫ 성경에 나타나는 예수(한자, 야소(耶蘇))의 5병2어와 세계적인 쌍어(雙魚)신앙이
숫자상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⑬ 조선(朝鮮)의 선(鮮)과 마한(馬韓)의 소도(蘇塗)의 소(蘇)에서 공통으로 물고기
어(魚)가 무엇을 말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⑭ 불교의 108배(拜)의 절의 유래와 소도(蘇塗)에서 숨겨져 있는 ‘절’의 의미를
알고 있습니까?
⑮ 조선(朝鮮)의 선(鮮)에서 양수(羊水, 兩數, 兩水, 兩手)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강을 끼고 있는 한글 지명 이름이 무엇인지 알고 있습니까?
⑯ 한(韓)에서 위(韋)의 뜻으로 가죽이나 에워싸다라는 뜻이 있는데 사람에게 두 개의
열 십(十)과 연결하면, 무엇을 뜻하고 그 숫자는 무엇인지 알고 있습니까?
-
이와 같은 ‘~ 알고 있습니까?’라는 물음에 동양의 천인지 음양오행 사상을 기초로 이것을 응용하여 풀이하고자 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한자로 기록된 고대 국가의 국호, 주요 인물, 유물, 농사나 풍습의 유래, 그리고 신앙과 종교 등과 접근하여 새롭게 해석한 것입니다.
또한 한글과 한자의 동음다의어, 동음이의어, 사투리, 음절 전환(한 음절 → 두 음절, 두 음절 → 한 음절), 예사소리와 된소리 전환, 한국어의 유희 현상 등으로 폭넓게 동원하여 풀이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작가소개

김영용

이 책을 지은이는 강원도 치악골에서 태어났고, 청소년 시절에는 한국사와 지리를 무척 좋아했다. 연세대 보건과학 전공으로 졸업한 후 학교법인 인하병원에서 근무했으며, 그 이후에는 주로 병의원과 공익법인 등 건립 컨설팅으로 활동하고 있다. 잠시 코로나19 영향으로 활동에 제한이 되어 틈틈이 천인지 음양오행에 대한 이해를 습득하면서 고대 한국사에 적용하다 보니 특이하고 묘하게 연결고리가 나타나 이 글을 쓴 계기가 되었다.

목차

Ⅰ. 천인지와 음양오행 사상의 이해
1. 천인지 사상의 이해(理解)
하늘 천(天) 사상
사람 인(人) 사상
땅 지(地) 사상
2. 음양오행 사상의 이해
3. 은하수와 별자리


4. 천인지 음양오행 사상의 이해
5. 한글의 천인지 음양오행 사상
6. 한자의 천인지 음양오행 사상의 이해
Ⅱ. 가락 문화
1. 가락의 의미
2. 가다(표준국어대백과사전)의 의미
3. 가다의 활용어와 파생어
감과 감다, 가시다와 가심, 가시, 가라, 가리다, 까다, 각(各, 角)
4. 사람 인체의 가락과 손가락의 셈 그리고 목
5. 음식 가락과 세배 그리고 설날
숟가락과 젓가락, 가락국수, 엿가락, 가래떡과 세배 그리고 설날
6. 놀이 가락
7. 농사 가락
8. 노랫가락의 「아리랑」
9. 가락국(駕洛國)
가락(駕洛)과 가라(加羅) 어원 의미, 김수로(金首露)의 의미, 허황옥(許黃玉)의 의미
구지가와 가야 유물 새 해석
하도낙서와 마방진 그리고 셈과 구구단
이다와 지다 그리고 임과 짐의 의미 291
2편 안내

출판사 서평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