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페이지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 서문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 서문
저자 조용선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5.09.18
|
가격 10,000
책소개
2000년 중국 선교사로 간 나는 목사이기에 성경을 통해 이스라엘 역사를 강의할 수 있고 또 선교사이기에 중국 역사를 잘 공부해서 중국인에게도 강의할 정도가 되었다고 자부하는데 이상하게 한국 역사를 강의하려면 뭔가 논리에 맞지 않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시간이 될 때마다 책을 읽고 조금씩 기록해두다 보니 그것이 어느새 한편의 역사책이 될 만했다. 나는 선교사의 자녀로 외국에서 사는 아이들이 한국어 어휘와 역사 상식이 부족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내가 쓴 역사책을 읽도록 했다. 나는 나름의 민족의식과 역사의식이 있어 나의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때부터 중국에서 애국가와 서정성이 있는 노래를 부르게 했다. 그래서 나의 작은아들은 4살 때 중국 애들을 보고 “워스 한구어런!(我是韩国人)”이란 말을 자주 했다. 작은아들은 나름 한국을 자랑스러워했다. 내가 한국 역사책을 쓰다 보니 약간 소문이 나서 선양에 있는 한국 국제학교에서 역사 교사가 되기도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모두 즐거운 시간이었다. 나는 무엇보다 나의 책으로 조선족 기독교 지도자에게 한국 역사를 알려주었던 것이 의미 있었다. 역사를 모르던 사람에게 역사를 알려주는 것은 뿌리를 찾게 하는 것과 같다.
나는 나의 책이 먼저 선교사님과 자녀들에게 읽히기를 원한다. 왜냐하면, 희한하게 선교하려면 선교사가 먼저 자기 나라 역사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사람의 좌표에 해당한다. 역사를 알아야 자기 좌표가 나온다. 그 위에 예수가 임하는 것이다. 선교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선교지의 기독교인도 자기 역사를 알아야 한다. 선교사가 역사의 의미를 알면 선교지의 지도자들도 그것을 알게 된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면 지금까지 개신교 선교는 제국주의적인 성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는 식민지 사람들이 자기 언어와 역사를 갖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자기 역사와 언어를 갖고 있으면 언제인가는 독립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집트에 노예로 있던 사람들이 해방하고 독립하게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것은 하나님을 찾고 자기 조상 아브라함을 알았기 때문이다. 아브라함을 안다는 것이 무엇인가? 그것이 곧 역사이다.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을 소개할 때는 꼭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라고 한다. 이게 무슨 뜻이냐? 히브리인의 역사라는 뜻이다. 그들은 떠돌이 히브리인에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을 만나면서 이스라엘이란 나라를 세우게 되었다. 마찬가지 원리이다. 요한계시록 7장 9절에 보면 예수님 재림할 때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큰 무리가 나와 재림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게 된다. 이 말씀의 뜻은 예수 재림 때까지 이 세상에는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가 그대로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개신교 선교는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에 맞춰서 선교해야 한다. 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를 파괴하거나 소멸시키는 것을 맞춰 행동할 것이 아니다. 이런 의식에서 나는 먼저 나의 나라와 민족과 역사와 언어를 살펴보고 그다음 선교지의 사람들에게 그렇게 말하고 가르쳤다. 따라서 이 역사책은 나의 역사책이 된다. 나는 기독교의 지도자들 목사, 선교사, 교수가 다 자기의 역사를 세우고 그다음 기독교의 제자들을 자기 나라와 민족과 역사와 언어에 선 사람으로 세우는 것이 성경의 원리를 따르는 것이라고 본다.
작가소개
조용선
학력:
총신대학교 신학과 (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equip)
아세아연합대학교 대학원(Th.M.)
중국선양사범대학교 대외한어과(B.A.)
경력:
한국공군목사
GMS선교사
선양한국국제학교(SYKIS) 역사교사
세계선교신학원 역사신학(M.Div.과정) 강사
목차
선교사가 쓴 한국인의 역사 서문 목차
감사의 말
내가 한국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 1~4편
1부 나는 왜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를 썼나?
1장 개신교 선교 원리
2장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를 쓴 동기
3장 한국의 종교와 사상은 역사와 문명의 핵심이다.
4장 통일신학과 북방신학을 찾아
2부 한국의 종교와 사상
1장 기독교
2장 한국과 일본의 관계
3장 한국인의 역사에서 생각해 볼 다섯 가지 문제
1절 신라의 삼국통일 이란 표현의 문제
2절 김부식의 『삼국사기(三國史記)』 문제
3절 위화도 회군의 문제
4절 이승만의 친일파 등용 문제
5절 한국전쟁 때 미국의 역할
4장 한국인의 미래를 생각하며
5장 언어와 문명을 통해 본 한국인의 뿌리를 찾아서
6장 무속(巫俗)종교
7장 유교(儒敎)
8장 불교(佛敎)
9장 무제(無題)
1절 일본의 JJ, 중국의 CC, 한국의 KK
2절 하나님을 알고 자기 민족을 알라!
10장 백범 김구의 『나의 소원』
3부 통일신학과 북방신학
1장 서언(序言)
2장 성경이 말씀하는 민족이란 무엇인가?
3장 성경이 말씀하는 민족의 영역이란 무엇인가?
4장 한국인의 기원은 무엇인가?
5장 한국인은 어떤 상황에 있는가?
6장 한국의 기독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7장 한국인은 하나님을 알고 있었는가?
8장 결론(結論)
4부 나의 역사관 정리
1장 내가 생각하는 민족
2장 한국인의 역사
3장 한국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
4장 한국의 역사를 서술하는 방향성
5장 한족(韓族)은 왜 한족(漢族)에게 밀렸는가?
6장 한국인의 특징
7장 한국인의 종교
8장 한국인의 문화
9장 한국인이 세운 국가의 특징
10장 한국인의 미래
11장 한국인 역사의 의미
12장 아픔
1절 휴전선
2절 독일 통일
3절 별과 태극(太極)
4절 우리의 강산(江山) 이름으로 생각해 본 것
1항 우리 산들
1. 백두산(白頭山) 2. 금강산(金剛山) 3. 설악산(雪嶽山) 4. 지리산(智異山)
5. 태백산(太白山) 6. 한라산(漢拏山) 7. 오녀산(五女山)과 오봉산(五峰山)
2항 우리의 강들
1. 한강(漢江) 2. 대동강(大同江) 3. 낙동강(洛東江)
4. 금강(錦江) 5. 영산강(榮山江) 7. 섬진강(蟾津江) 8. 임진강(臨津江)
9. 청천강(淸川江) 10. 압록강(鴨綠江) 11. 두만강(豆滿江) 12. 혼하(渾河)
13. 송화강(松花江) 14. 눈강(嫩江)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