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이페이지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 3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 3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 3

저자 조용선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5.09.18

|

가격 10,000

책소개

2000년 중국 선교사로 간 나는 목사이기에 성경을 통해 이스라엘 역사를 강의할 수 있고 또 선교사이기에 중국 역사를 잘 공부해서 중국인에게도 강의할 정도가 되었다고 자부하는데 이상하게 한국 역사를 강의하려면 뭔가 논리에 맞지 않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시간이 될 때마다 책을 읽고 조금씩 기록해두다 보니 그것이 어느새 한편의 역사책이 될 만했다. 나는 선교사의 자녀로 외국에서 사는 아이들이 한국어 어휘와 역사 상식이 부족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내가 쓴 역사책을 읽도록 했다. 나는 나름의 민족의식과 역사의식이 있어 나의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때부터 중국에서 애국가와 서정성이 있는 노래를 부르게 했다. 그래서 나의 작은아들은 4살 때 중국 애들을 보고 “워스 한구어런!(我是韩国人)”이란 말을 자주 했다. 작은아들은 나름 한국을 자랑스러워했다. 내가 한국 역사책을 쓰다 보니 약간 소문이 나서 선양에 있는 한국 국제학교에서 역사 교사가 되기도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모두 즐거운 시간이었다. 나는 무엇보다 나의 책으로 조선족 기독교 지도자에게 한국 역사를 알려주었던 것이 의미 있었다. 역사를 모르던 사람에게 역사를 알려주는 것은 뿌리를 찾게 하는 것과 같다.

나는 나의 책이 먼저 선교사님과 자녀들에게 읽히기를 원한다. 왜냐하면, 희한하게 선교하려면 선교사가 먼저 자기 나라 역사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사람의 좌표에 해당한다. 역사를 알아야 자기 좌표가 나온다. 그 위에 예수가 임하는 것이다. 선교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선교지의 기독교인도 자기 역사를 알아야 한다. 선교사가 역사의 의미를 알면 선교지의 지도자들도 그것을 알게 된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면 지금까지 개신교 선교는 제국주의적인 성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는 식민지 사람들이 자기 언어와 역사를 갖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자기 역사와 언어를 갖고 있으면 언제인가는 독립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집트에 노예로 있던 사람들이 해방하고 독립하게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것은 하나님을 찾고 자기 조상 아브라함을 알았기 때문이다. 아브라함을 안다는 것이 무엇인가? 그것이 곧 역사이다.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을 소개할 때는 꼭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라고 한다. 이게 무슨 뜻이냐? 히브리인의 역사라는 뜻이다. 그들은 떠돌이 히브리인에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을 만나면서 이스라엘이란 나라를 세우게 되었다. 마찬가지 원리이다. 요한계시록 7장 9절에 보면 예수님 재림할 때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큰 무리가 나와 재림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게 된다. 이 말씀의 뜻은 예수 재림 때까지 이 세상에는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가 그대로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개신교 선교는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에 맞춰서 선교해야 한다. 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를 파괴하거나 소멸시키는 것을 맞춰 행동할 것이 아니다. 이런 의식에서 나는 먼저 나의 나라와 민족과 역사와 언어를 살펴보고 그다음 선교지의 사람들에게 그렇게 말하고 가르쳤다. 따라서 이 역사책은 나의 역사책이 된다. 나는 기독교의 지도자들 목사, 선교사, 교수가 다 자기의 역사를 세우고 그다음 기독교의 제자들을 자기 나라와 민족과 역사와 언어에 선 사람으로 세우는 것이 성경의 원리를 따르는 것이라고 본다.

작가소개

조용선

학력:
총신대학교 신학과 (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equip)
아세아연합대학교 대학원(Th.M.)
중국선양사범대학교 대외한어과(B.A.)

경력:
한국공군목사
GMS선교사
선양한국국제학교(SYKIS) 역사교사
세계선교신학원 역사신학(M.Div.과정) 강사

목차

감사의 말

내가 한국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 1~4편

8단원 일본 강제 점령기 시대

1부 일본의 통치
1장 제1기 강점시대(1910~1919년)
2장 제2기 강점시대(1920~1931년)
3장 제3기 강점시대(1932~1945년)

2부 독립운동
1장 1910년대의 독립운동
2장 1920년대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의 전개와 일제의 탄압
3장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1945년)

9단원 남북국시대

1부 해방 후

1장 해방 전후의 상황
2장 미 군정 시기의 남한
3장 소련 군정 시기의 북조선

2부 한국전쟁

1장 전쟁 전의 상황
2장 누가 전쟁을 일으켰는가?
3장 전쟁의 경과

3부 대한민국

1장 이승만
2장 윤보선
3장 박정희
4장 최규하
5장 전두환
6장 노태우
7장 김영삼
8장 김대중
9장 노무현
10장 이명박
11장 박근혜
12장 문재인
13장 윤석렬
14장 이재명

4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장 정치
2장 사상
3장 사회
4장 경제, 교통, 교육
5장 문화
6장 예술과 오락
7장 북한의 삶과 생활

5부 통일을 향한 노력

1장 분단
2장 7·4 남북공동성명
3장 88올림픽
4장 두 정상의 만남
5장 핵무기를 만들 수밖에 없는 상황
6장 통일을 위한 방안

10단원 해외동포

1부 조선족

1장 개략
2장 1880년대 이전의 이주
3장 1880년대의 이주
4장 1910년대 이후의 이주
5장 조선족의 반일운동
6장 만주사변 이후 조선족의 생활
7장 항일 운동
8장 해방 후 조선족
9장 한국전쟁 시기의 조선족
10장 모택동 정권
11장 개혁개방
12장 개방 이후 조선족 사회
13장 미래

2부 고려인

1장 약력
2장 지역별 고려인의 상황

3부 재일동포(在日同胞)

1장 재일동포의 정의
2장 이주의 역사
3장 해방 후 일본에서 사는 재일동포의 생활사
4장 재일동포의 문화

4부 그 밖의 교포

1장 접촉
2장 미국으로의 이민사(移民史)
3장 기타 이민사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리뷰